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 등 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30여억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일 발생한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로 인해 투자자들의 출금과 원화 입금이 취소되는 등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는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역대 최다 인원에 역대 최다 배상 금액이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가상자산거래소 5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는 계엄 당일 전산장애 596건에 대해 31억4459만8156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빗썸도 같은 날 전산장애 124건에 대해 3억7753만3687원을 배상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국내 거래소에서 1억3000만원에 거래되던 비트코인 가격은 8800만원까지 급락했다.
그와 동시에 각 거래소 이용자 접속량이 급증하면서 접속과 매매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고, 업비트에서는 일부 가상자산 출금과 원화 입금이 취소되는 등 장애가 발생했다.
평소 업비트 동시 접속자 수는 10만 명이었으나 비상계엄 이후 동시 접속자 수는 110만 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빗썸과 코인원에도 각각 50만 명 이상의 접속자가 몰렸다. 이에 따라 업비트에서는 99분, 빗썸에서는 62분, 코인원에서는 40분 동안 전산장애가 일어났다.
투자자와 가상화폐 거래소의 배상 협의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나, 협의가 완료되면 배상액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은 배상 문제가 없었다. 가상자산거래소 1위 업비트는 2022년 전산장애 50건에 대해 1147만1876원을 보상한 바 있다. 빗썸은 2023년에 29명에게 9495만915원을 보상했다.
금융당국은 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지난달에 이어 지난 20일부터 다시 현장점검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계엄 사태 이후 거래소들로부터 서버 증설, 클라우드 전환, 비상 대응계획(BCP) 개선 등 향후 대책을 보고받았다. 이번 추가 현장점검은 이러한 대책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