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오는 25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5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 대표 정기예금 상품(1년 만기 기준)에서 3%대 금리가 사라지고,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보다 낮은 2%대로 자리잡혀 가는 중이다. 다만 가산금리를 포함한 대출금리는 가계대출 관리 등을 내세워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만기 1년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추기로 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해당 상품의 최고금리는 2022년 7월 10일 2%대에서 3%대로 올라섰다. 이후 약 2년 7개월 만에 다시 2%대로 하락한 것이다.
신한은행 또한 지난 20일 대표 수신 상품인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0.05%포인트 인하했다. 해당 상품의 2%대 최고금리는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앞서 SC제일은행은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p 내린 바 있다. SC제일은행의 퍼스트정기예금 금리, 퍼스트표지어음·더블플러스통장(CD) 금리, e-그린세이브예금 금리, SC제일 친환경비움예금 금리를 최대 0.10~0.50%포인트까지 내렸다.
하나은행 또한 14일 ‘하나의 정기예금’·‘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 금리를 0.20%포인트씩 하향 조정했다.
이에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95∼3.30%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일 키움증권 보고서를 통해 전망한 것처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2.75%로 0.25%포인트 인하한다면 다른 시중은행들의 정기예금 금리도 2%대로 내려올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더불어 기준금리가 내려간다면 대출금리 또한 하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대출금리도 낮아질 수 있지만, 가계대출 증가 문제를 고려할 때 무작정 금리를 내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