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정부가 생성형 인공지능(AI)를 잇는 차세대 기술로 ‘피지컬 AI’에 주목하고 본격적인 마중물 투자에 나선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피지컬 AI(인공지능)가 생성형 AI 이후 미래 AI 기술의 게임 체인저로서 주목받고 있다"며 정부가 본격적인 '마중물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류 차관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피지컬 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콜로퀴움' 축사에서 "인공지능 혁명은 디지털 영역을 넘어서 현실 세계로 확장되는 패러다임 전환을 맞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피지컬 AI는 주변 환경을 학습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AI 시스템을 의미한다. 현실 세계에서 직접 결정하고 행동하는 AI로, 휴머노이드와 자율주행 자동차 등을 대표적인 피지컬 AI 산업으로 꼽을 수 있다.
류 차관은 "NVIDIA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피지컬 AI에 대한 전례 없는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국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고 있는 중"이라며 "피지컬 AI가 몰고 올 파급 효과는 산업을 넘어 우리 일상과 사회 전반을 혁신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새로운 시장과 생태계를 여는 도전에 피지컬 AI 분야의 강점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과감히 나서야 하는 시점"이라며 "파운데이션 모델, LAM이라고 하는 거대 행동 모델, 또 시뮬레이터 등의 피지컬 AI 핵심 원천 기술 개발과 관련 데이터 확보 등을 통해 조속히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의 도움으로 추경에 피지컬 AI 관련 예산이 반영됐다며 "정부도 본격적인 마중물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과기정통부는 AI 총괄 부처로서 의료, 제조, 물류, 조선 등 다양한 분야와 피지컬 AI가 융합 활용돼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 차관은 "국내 산업계, 연구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글로벌 협력을 대폭 강화해 우리가 피지컬 AI 분야를 선도하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콜로퀴움은 국회와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의원,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했다.
이와 함께 이광형 KAIST 총장과 조준희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 류덕산 전북대 교수, 박윤규 NIPA 원장, 양진홍 넥스트스튜디오 대표 등 산업계·학계·연구계·관계 여러 전문가도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