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언어모델 엑사원·소형 언어모델 익시젠 등 구동 시연
"법제도 정비 등 나아가야 할 방향 논의해 대안 모색 앞장설 것"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국내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의 정책 지원 확대를 거듭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15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과방위 위원 및 관계자 50여 명을 초청해 LG AI연구원이 개발한 초거대 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과 이를 기반으로 LG유플러스가 개발한 소형언어모델(sLM) '익시젠'(ixi-GEN)을 소개하고 기술을 시연했다.
간담회에는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김현 더불어민주당 간사, 최형두 국민의힘 간사, 정동영, 노종면, 이정헌, 이훈기, 조인철, 한민수 의원 등 과방위 소속 의원 및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규제 정비, 인재양성 등을 위한 국회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글로벌 AI 경쟁을 위해 기업뿐 아니라 국가 역량을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한 기업의 기술 발전만을 통해서 국가 대항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건 상당히 어려운 도전과제”라면서 “이번 방문을 계기로 민간과 국회가 함께 만들어갈 AI 생태계 방향성과 규제 정비, 인재 양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는 첫 번째 출발의 장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이에 과방위 소속 위원들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약속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AI 3대 강국이란 게 막연한 것이 아니다. 제조업에서 AI 최강, 정보통신에서 AI 최강 등 잘할 수 있는 것을 하다 보면 3대 강국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과방위 위원 전원은 LG를 비롯한 기업들이 각자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AI 강국에 갈 수 있도록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김현 민주당 간사는 “3년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뒤처져 있지만 발 빠르게 길을 찾고 방향을 모색하면 전세계 3위 안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과방위가 법제도 정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해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내년 시행될 'AI 표시의무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AI기본법)’을 제정해 내년 1월부터 생성형 AI가 만든 콘텐츠에 AI 생성물임을 명시하는 표시의무제를 도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