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對美 보복관세 부과시 그만큼 더 올려… 무역장벽 없애면 관세 조정 고려할 것”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해 일본 등 14개 나라에 서한을 보내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7일(현지시간) 통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한 서한에서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한국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그가 처음 발표한 관세율과 동일한 수치다.
그는 “이는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에 이미 부과된 품목별 관세(Sectoral Tariffs)와는 별개(separate)”라면서 “더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환적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는 더 높은 관세율가 적용될 것”이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만약 어떤 이유에서든 한국의 (대미) 관세를 인상하기로 결정한다면 당신이 (보복) 관세를 얼마나 올리기로 선택하든 우리가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당신이 지금까지 폐쇄돼 있던 무역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고,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과 무역 장벽을 제거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아마도 이 서한에 대한 조정(adjustment)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로이터 통신은 백악관 당국자를 인용해 이번 관세는 자동차·부품(25%), 철강·알루미늄(50%)과 같이 이전에 발표된 품목별 관세와 결합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예를 들어 기존의 25%였던 자동차 부문 관세가 50%로 인상되는 대신 25%로 유지된다는 의미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이날 서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 연구소(ASPI) 부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 두 나라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것은 유감이지만, 협상에서 돌파구를 찾을 시간은 아직 있다”면서 “실망스러운 소식이지만, 경기가 끝났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로이터 등 외신에 말했다.
한편 일본에 대한 관세율은 당초보다 1%p 오른 25%였고, △튀니지·말레이시아·카자흐스탄 25% △남아프리카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인도네시아 32% △세르비아·방글라데시 35% △캄보디아·태국 36% △라오스·미얀마 4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게시했다. 지금까지 합의한 나라는 영국과 베트남 단 두 곳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브라질에서 회동하고 있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이 포함된 ‘브릭스(BRICS)’ 그룹에 속한 개발도상국 지도자들에게 “반미 정책을 채택할 경우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