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알려지지 않은 핵연료 사고 월성본부만 40건 넘어
  • 최홍식 기자
  • 승인 2017.10.15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정 의원, 산업부 국정감사에서 보고되지 않은 핵연료 사고 지적

[Industry News 최홍식 기자] 월성원자력본부에서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은 원자력 핵연료봉 관련 사고가 44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에 집계된 726여건의 원전 안전사고 외 보고되지 않은 사고가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박정 의원이 지난 12일 열린 산업부 국정감사에서 알려지지 않은 원전사고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Industry News]

지난 12일 국회에서 진행된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국정감사에서 박정 의원은 그동안 보고되지 않은 원전 사고가 있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4월 신고리 1호기에서 핵연료봉 장전 중 연료봉이 찌그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정황을 담은 문건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핵연료 장전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고 기울어짐으로써 허용한도를 초과하는 충격을 받아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했고, 당시 연료봉에는 원자핵분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중성자선원이 삽입돼 있어 사용후 핵연료로 간주' 됐다. 

당시 사고가 보고의무가 없는 사항이라지만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아찔한 사고인데 원안위에 어떤 형태로든 보고가 되지 않은 점은 의문이라고 박정 의원은 지적했다. 

특히 경수로인 신고리 1호기는 핵연료 손상 등으로 방사성 물질 누출 등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해당사고는 1978년부터 원전 사고와 고장 정보를 기록하는 원전 안전운영정보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았다. 핵연료봉 사고가 발생해도 보고할 의무가 없었던 당시 기준에 따라 사고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박 의원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월성 원자력 본부에서만 핵연료봉 사고에도 불구하고 보고 의무가 없다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은 사건은 최소 4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올해 3월 월성 4호기에서는 신연료 핵연료다발이 바닥으로 낙하하는 사고가 있었고, 현재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에 등록돼 있다. 여기에 등록된 핵연료봉 사건 외 1건에 불과하다. 

박정 의원은 "2014년부터 핵연료봉 사고도 보고토록 하면서 지금은 보고 의무가 있지만 여전히 원전에서 사고가 나도 한수원이 보고하지 않으면 원자력안전위원회나 국민들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며,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원전사고에 대해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