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홍보 통해 농촌태양광 사업 적극 전개한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7.11.17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문제는 농지 경작량과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농가 소득 감소 문제로 귀결된다. 농촌의 공동화가 진행되면 휴경, 폐경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때문에 농지 활용도가 떨어지고, 탈농촌이 가속화되는 지경에 이른다.

태양광으로 농가소득 개선, 휴경지 막는다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농촌의 다양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 중 하나가 바로 농촌태양광 전기농사이다. 농촌 태양광은 농가 소득을 보장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동시에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 지자체들이 농촌태양광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경북 영천시가 한국에너지공단과 업무협조를 통해 저금리의 정책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태양광에너지농사를 적극 추진한다.

경북 영천시가 농촌태양광 보급을 위해 농민 홍보와 행정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영천시]
경북 영천시가 농촌태양광 보급을 위해 농민 홍보와 행정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영천시]

전국에서 손꼽히는 일조량을 확보하고 있는 영천시는 태양광발전 사업에 적절한 곳으로 지목되어 왔고, 이로 인해 태양광발전소 건립을 둘러싼 민원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영천시와 한국에너지공단은 민원을 최소화하고 지역민들에게 혜택을 주고자 태양광에너지농사 사업을 시범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한국에너지공단은 정책자금을 확보해 전기사업허가와 개발행위허가를 끝낸 농가에 저리의 정책자금을 우선 지원한다. 영천시는 공개모집을 통해 자격을 갖춘 시공업체를 선정하고, 에스에너지, 범일전기가 함께하는 컨소시엄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별도로 ‘태양광에너지 영천시 홍보센터’를 개소해 농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키로 했다. 사업에 참여하는 농민들의 행정편의를 돕기 위해 인허가 절차, 전기 판매대행 계약, 사후관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영천시에 따르면 이번 농촌태양광 사업의 효과는 80평의 토지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할 경우 연간 500만원 이상의 고정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다. 사업신청 시 자부담금은 20%이며 80%의 금액은 연리 2% 미만의 정책자금 지원이 가능하다.

조남월 영천시 부시장은 “씨 뿌리고 땀 흘려 수확한 열매도 값지지만 고령화되어가고 있는 농촌의 현실에서 노동력이 거의 들지 않는 태양광에너지 농사가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농촌의 경제가 살아난다면 시내 상인들이 장사가 잘되고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는 등 영천이 살기 좋은 도시가 된다”며 농촌 태양광 사업이 성공을 염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