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최적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축 방안
[인더스트리뉴스 전시현 기자]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장은 현재 미숙한 상황이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이 수백가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최적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됐다.
맥킨지 앤드 컴퍼니 (McKinsey and Company)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장은 현재 미성숙 단계이며, 고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150가지가 넘기에 가장 적합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확인하고 구축하는 일은 기술 리더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이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지니고 있기에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기술관련 플랫폼보다 복잡함을 의미하며, 모든 종류의 디지털 기기와 장치, 센서, 그리고 응용프로그램과 기본 기술을 고려해야 하는 복잡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사진=pixabay]](/news/photo/201803/22039_12742_3647.jpg)
맥킨지 앤드 컴퍼니(McKinsey and Company)의 연구진에 의하면, 응용프로그램 수준에서가 아닌 기술환경 전반적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 도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중요성이 낮은 사안들에 대해서는 대체가 가능하거나 기존의 기술을 활용하라는 조언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와 어플리케이션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는데 필수요소 4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하이브리드형 어플리케이션 환경으로 이동해야 한다. 개발환경이 공통된 서비스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본으로 타 플랫폼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응용프로그램을 컨테이너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둘째 데이터를 흡수하고 논의할 수 있는 능력의 보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다수의 플랫폼에서 다양한 고속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기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 설비의 소유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즉 사물인터넷 플랫폼 제공업체와 광범위한 기업형 클라우드 서비스 전략이 호환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자주권과 보안성을 고려할 것이처럼 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축과 솔루션 활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도입하려는 비즈니스 업체들의 신중한 결정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