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로봇 공학 분야 인력양성 프로그램 확대
[인더스트리뉴스 전시현 기자] 2016년 현재 지능형로봇 분야 900여 기업에 1만 5천명 종사중이었으나 2026년까지 종사자가 2배이상 증가해 3만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지능형 로봇 분야 제조업(전체 925개사)에 대한 표본 조사를 통해 산업인력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분야별(4개), 직무별(6개) 전망 및 분석을 실시했다.
지능형로봇 분야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 근로자 수는 18.2명으로 30인 미만이 대부분(84.4%)을 차지했다. 9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58.4%로 과반을 차지한 반면, 100인 이상 중견규모는 2.4%에 불과했으나, 조사대상중 85.3%가 매출이 발생하고 있어 연구 개발단계에서는 벗어나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학력별 현황은 ‘대졸’ 산업기술인력이 가장 많고, 선호 전공은 ‘기계․로봇공학’으로 나타났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news/photo/201804/22492_13148_3933.jpg)
기업수에서 전문서비스(10.6%), 개인서비스(10.3%), 기반기술(28.3%)분야에 비해 제조(50.8%)분야의 비중이 높아 대부분 기업이 제조업 생산설비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다. 4차 산업혁명, 제조업 혁신 등으로 인해 향후 5년간 매출액이 늘 것으로 전망했으며, 기대 증가율이 23.8%에 달해 다른 제조업에 비해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지능형로봇 산업분야의 산업기술인력 현원은 2017년 6월 말 기준 14,645명이며 부족한 인원은 1,019명으로, 업체별 6.5%의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했다. 분야별 현황은 제조 로봇 8,870명, 전문서비스 로봇 1,086명, 개인서비스 로봇 914명, 기반기술 3,776명으로 제조 로봇 인력 비중(60.6%)이 가장 높았다.
학력별 현황은 ‘대졸’ 산업기술인력(60.8%)이 가장 많고, 선호 전공은 ‘기계․로봇공학(59.4%)’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2026년까지 지능형로봇 분야 인력수요는 총30,889명이 예상된다. 분야별로는 제조 로봇 16,177명, 전문서비스 로봇 4,394명, 개인 서비스 로봇 1,941명, 기반기술 8,377명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인력수급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산업인력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가동해 연구개발(R&D) 사업과 보급사업 추진에 활용할 예정이다.
미래 신산업 인력수요 대응을 위해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하여 대학원 교과과정을 개발·운영하고, 현장실습을 지원한다. 또한, 로봇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를 활용, 현장 중심의 인력 양성을 체계화함으로써, 일자리의 질적 불일치를 최소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