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국·일자리과·성평등담당관 등 공약실천 수행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민선 7기 제주특별자치도(도지사 원희룡)가 조직개편을 통해 공약 실천을 본격화 한다. 제주도가 첫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공직혁신과 소통확대에 본격 시동을 걸기 위해 도지사 직속으로 소통혁신정책관과 대변인실이 신설된다. 대신 기존 정책보좌관실을 폐지한다. 이미 서울, 부산의 경우 시장과 지사 직속으로 소통·혁신 직할기구를 두고 공직기구에 혁신을 추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소통혁신정책관은 도지사가 도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가감 없이 들을 수 있는 소통의 기회들을 확대하고, 신속한 민원처리와 공약 추진상황 점검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또 혁신행정과 청렴감찰, 안전감찰 업무를 통해 도지사가 공직내부의 강력한 혁신을 추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변인실은 타 시도 직제처럼 공보관을 대변인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직급도 타 시도처럼 국장급으로 편제한다. 소셜 미디어시대를 맞아 다양한 채널을 통해 들어오는 도민의 목소리를 지사가 직접 챙겨듣고, 그에 알맞은 맞춤형 정보와 정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였다.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6일 조직개편에 대한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다. [사진=제주특별자치도]](/news/photo/201807/24991_15967_348.jpg)
무엇보다 도민들에게 약속한 공약실천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직기구를 갖추는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카본 프리 아일랜드(탄소 없는 섬)라는 제주의 그린빅뱅 전략을 실천할 미래전략국이 신설된다.
4차 산업을 선도할 인재발굴과 청년정책 추진을 위해 인재정책담당관도 신설된다. 특히 기존 경제통상일자리국을 일자리경제통상국으로 개편해 고용센터의 업무를 통합하고, 제주의 삶과 직결된 일자리창출 업무를 담당할 일자리과가 신설된다.
또 ‘제주혼디내일센터’를 신설해 도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분의 고용정보를 통합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성평등과 유니버설디자인 공약을 실행하기 위해 행정부지사 직속으로는 성평등담당관과 도시디자인담당관이 신설된다.
성평등담당관은 기존 양성평등담당이 맡으면서 부서별 칸막이에 막혀 제대로 실행되지 못했던 성평등 업무를 제주도정 전반에 걸쳐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디자인담당관은 기존 도시계획 분야와 디자인건축지적분야로 나눠졌던 업무를 통합해 제주를 진정 제주답게 디자인하고, 모두가 편안한 유니버설디자인을 도내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환경분야에서는 환경총량제 시행과 더불어 환경(절대·상대) 보전지역 지정 관리를 현재 도시건설부서에서 환경부서로 이관해 난개발 방지를 강화한다. 물정책과도 신설돼 지하수를 비롯한 제주의 생명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게 된다.
장애인들의 숙원 해결과 사회복지예산 25% 목표에 맞춰 기존 노인장애인복지과를 노인복지과와 장애인복지과도 새롭게 편제해 ‘복지 1등 특별자치도’ 실현에 나선다. 제주 인재를 발굴.육성하고 공직사회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기 위해 공직개방도 확대된다.
개방직 지정으로 공직 외부 민간 전문가를 채용하고, 공직 내부에서도 보직공모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보직공모제는 일정한 보직에 대해 공모에 의한 내부 발탁을 확대하는 것이다.
개방직 지정, 보직공모 범위 지정은 검토와 논의 과정을 거쳐 조직개편 조례 개정 후에 하되, 개방직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해당 직위의 혁신성과 달성협약 체결을 전제로 성과 위주의 외부인재를 채용한다.
아울러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채용비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채용전담팀을 신설해 공무원은 물론 지방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의 인력채용 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또 정부의 지방분권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헌법적 지위 확보를 위해 특별자치추진국이 신설돼 지방분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