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내은행 대출 연체율 소폭 하락…연체채권 정리 확대 영향
  • 이주엽 기자
  • 승인 2025.05.21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 높아
금감원, 연체 우려 차주를 대상으로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 / 그래프 = 금융감독원
원화대출 연체율 추이 / 그래프 = 금융감독원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분기말 연체채권 정리 확대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25년 3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3%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전년 동월(2024년 3월)과 비교하면 0.10%포인트(p) 높은 수치다.

연체율 하락은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3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3조 원으로 전월보다 1000천억 원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4조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2조3000억 원 증가했다.

금감원은 “신규 연체 증가에도 불구하고 분기말 연체채권 정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체 연체율은 전월보다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대기업 대출 연체율이 0.11%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76%로 0.08%포인트 하락했고, 이 중 중소법인은 0.80%로 0.10%포인트, 개인사업자는 0.71%로 0.05%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가계대출 부문에서는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0.29%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79%로 0.10%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연체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고, 연체 우려 차주를 대상으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해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