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가상자산 악성 앱 한 달간 7만 건 이상 탐지·안내
  • 김은경 기자
  • 승인 2025.05.22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폰지 사기 등 가장자산 관련 금융 범죄 급증
악성 앱 탐지 및 삭제 안내로 피해 예방 주력
카카오페이가 ‘앱 통합 보안 솔루션’을 통해 한 달간 자상자산 악성 앱을 7만 건 이상 탐지하고 사용자에게 안내했다. / 사진 = 카카오페이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카카오페이는 ‘앱 통합 보안 솔루션’ 서비스를 통해 최근 한 달간 7만 건 이상의 가상자산 관련 악성 앱을 탐지해 사용자에게 안내했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보유 금액은 104조1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가상자산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범죄 노출 위험 역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상자산 보유자의 20.3%가 범죄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가 감지한 악성 앱은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폰지 사기 의심 업체로 지목한 악성 앱이며, 실제로 카카오페이가 지난 한 달간 탐지한 악성 앱의 80% 이상이 가상자산 폰지 사기 관련 앱으로 드러났다.

폰지 사기는 신규 투자자의 자금을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처럼 지급하는 다단계 금융 사기의 일종이다. 실질적인 수익 창출 없이 ‘고수익 보장’, ‘원금 보장’ 등의 허위 광고로 투자자를 유인한 뒤 자금 유입이 끊기면 잠적하는 방식이다. 금융 당국 또한 이러한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다.

카카오페이의 ‘앱 통합 보안 솔루션’은 사용자의 잠재적인 위협을 탐지해 ▲개인 정보 유출 ▲금융 정보 도용 ▲피싱 등의 피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서비스다. 이 솔루션은 안전하지 않은 환경 및 악성 앱의 위변조 시도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특히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경우 악성 앱 발견 시 즉시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삭제 기능까지 지원한다. 또 악성 앱에 노출되기 전 ‘카카오페이 백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보안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 백신 기능은 ▲기기의 탈옥 여부 ▲앱 위변조 ▲에뮬레이터 사용 ▲디버깅 및 리버싱 시도 등 다양한 항목을 검사해 악의적인 공격 시도를 사전에 차단한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는 금융 사기에 취약한 고령층 등 가족 구성원을 보호하기 위한 ‘가족 보안 지킴이’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사전에 등록된 가족 간의 보안 상태를 공유하고, 위험 발생 시 실시간 알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의 기기에서 ▲악성 앱 실행 ▲비밀번호 변경 ▲의심스러운 거래 등이 감지되면 가족 모두에게 즉시 알림이 발송된다. 더불어 가족 구성원끼리만 알 수 있는 암구호 설정 기능을 통해 가족을 사칭한 범죄 시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금융사기 등 보안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카카오페이는 악성코드 탐지 기능을 통해 사용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사용자의 금융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보안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