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국회 ‘정보호호의 날’ 맞아 사이버 보안 강화 선언
  • 김희선 기자
  • 승인 2025.07.09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재명 대통령 “사이버 보안 뒷받침된다면 AI 3대 강국 현실 될 수 있어”
최민희 과방위원장 “국가 생존 핵심 전략...법과 제도 적극 노력해 개선”
이정헌 의원 “사이버 보안 강화 및 제도적 미비점 보완 힘쓸 것”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9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에서 이재명 대통령 축사를 대독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9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에서 이재명 대통령 축사를 대독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인공지능(AI), 클라우드(Cloud), 자율주행이 일상이 된 시대에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위협은 여전히 심각한 가운데, 정부와 국회가 정보보호를 미래 경쟁력을 선언하며 사이버 보안을 국가 생존 전략으로 공식화했다. '제14회 정보호호의 날'을 맞아 열린 기념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민관 협력을 통한 보안 체계 대전환을 주문했고, 국회도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역설했다.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국정원), 행정안전부(행안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회장 조영철)가 함께 개최했다.

과기정통정부에 따르면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올해 기념식은 ‘AI시대,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안심 국가 구현’을 주제로, 대한민국 모든 구성원이 원팀(One-Team)이 돼 국가 전반 사이버보안 체계의 대전환을 통해 기초가 튼튼한 AI 시대를 준비한다는 의미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민·관이 긴밀히 협력한다면 사이버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체계적인 정보보호, 튼튼한 사이버 보안이 뒷받침된다면 AI 3대 강국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재정비, 기업의 책임감 있는 보안을 위한 이정표 제시, 사이버 복원력 확보, 지역·중소기업의 보안 역량 강화, 정보보호산업 육성 및 보안 인재 양성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도 영상 축사로 “정보보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생존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대한민국 정보보호 체계 고도화를 위한 법과 제도 개선에 국회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9일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 14회 정보보호의 날'을 맞아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에 사이버 보안 강화와 제도적 미비점 보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사진=이정헌 의원 페이스북 

아울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이자 민주당 정보통신특별위워장을 맡고 있는 이정헌 의원도 ‘정보보호의 날’을 맞아 사이버 보안 강화와 제도적 미비점 보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정헌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금융과 의료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오늘, 국민의 정보는 더 이상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삶의 흐름 자체, 그리고 주권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다”고 글을 게재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발생한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는 2,600만 건에 달하는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사상 초유의 피해와 함께 4년에 걸친 장기 침투조차 감지하지 못한 사이버 보안의 취약성을 드러냈다”며 “2009년 7월 7일 디도스 대란을 계기로 만들어진 정보호호의 날,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다시 한 번 디지털 신뢰의 의미를 되짚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정보보호는 개인의 몫도, 기업의 선택도 아니다. AI 시대의 정보보호는 명백히 국가의 책무이자, 주권의 과제”라며 “통신망에서 시작된 작은 균열은 국가 전체의 안보 위기로 번질 수 있어, 앞으로 더욱 사이버 보안 강화와 제도적 미비점 보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보호호의 날’은 매년 7월 둘째 주 수요일로 지정된 기념일이다. 지난 2009년 발생한 ‘7.7 DDoS’ 대란을 계기로 사이버 위협에 대한 사회 전반의 경각심을 높이고 국민들의 정보보호 생활화를 위해 제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