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표준거버너스 혁신 방안 논의
[Industry News 이건오 기자] 이번 포럼은 '표준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이라는 주제로, 표준이 만들어 갈 더 똑똑한 스마트시티, 독일 인더스트리 4.0을 성공으로 이끄는 표준화 전략 등 4차 산업혁명에 있어 표준의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기조연설 및 주제발표에 참여한 국제표준화기구(ISO) 존 월터(John Walter) 차기회장,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프란스 브리즈빅(Frans Vreeswijk) 사무총장, 독일 인더스트리 4.0 레인홀트 피클러(Reinhold Pichler) 표준화위원회 이사, 일본 경제산업성 후미가츠 사토(Fumikazu Sato) 국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표준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존 월터(John Walter) 회장은 “표준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도구이므로 표준화를 통해 사람 중심으로 기술혁신과 융합을 추진하는 새로운 표준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표준의 중요성을 말했다. 프란스 브리즈빅(Frans Vreeswijk) 사무총장은 스마트시티와 같은 융복합 표준화를 위해서 ‘시스템 표준화 거버넌스’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독일 인더스트리 4.0 표준화위원회 레인홀트 피클러(Reinhold Pichler) 이사는 디지털 변혁시대의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6개 민간단체가 공동 협력해 ‘인더스트리 4.0 표준화위원회’를 신설하고 국제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후미가츠 사토(Fumikazu Sato) 국장은 일본 정부는 초연결 산업의 대표 사례인 스마트제조 시스템에 주목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개발, 국제표준 활동 참여, 중소기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기술표준원 정동희 원장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민관이 협력하는 표준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고, 강력한 표준거버넌스 확립을 위해 국가표준화체계의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