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의 본격 참여위한 융합 얼라이언스 구성 추진
[인더스트리뉴스 박규찬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최근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를 개최하고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가 시범도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형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을 제시하고자 정부가 혁신성장선도사업 중 하나로 올해 1월부터 중점 추진 중인 사업으로 지난 7월 시범도시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및 주요 콘텐츠 등을 담은 기본구상을 발표한 바 있다.
![(사진 왼쪽부터) 세종, 부산 에코델타시티의 국가 시범도시 입지별 콘텐츠 예시 [사진=국토교통부]](/news/photo/201812/28546_20612_5646.jpg)
이번 시행계획 수립은 기본구상 이행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조치로서 지난 5개월간 시범도시 마스터플래너(MP)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사업시행자·지자체 등과 함께 각 콘텐츠별 세부과제 및 구현방안(공간구조 포함), 사업규모 추계와 공공·민간의 역할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토의했으며 4차위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도시계획·교통/헬스케어·혁신 생태계/빅데이터·에너지 분야 전문가 간담회, 시민 공청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도 의견을 폭 넓게 수렴한 바 있다.
시범도시 조성을 위해 정부·사업시행자·지자체 등 공공은 도시기반 조성, 교통·에너지·헬스케어 등 혁신기술 접목과 산업생태계 육성에 내년부터 3년간 약 2조4,000억원(세종 9,500억원, 부산 1조4,500억원) 내외를 투자하게 되며 민간기업에서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혁신적인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3년간 1조2,900억원(세종 5,400억원, 부산 7,500억원) 내외의 투자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시범도시 내 민간기업 참여를 위해 각 사업지별(세종 71개 기업, 부산 121개 기업과 협의중)로 참여방안 논의를 진행해 왔으며 내년 초 ‘(가칭)스마트시티 융합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기업과의 공식 소통채널을 확보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입주 이후에도 안정적 서비스가 공급되도록 민간참여 기반의 도시운영 체계도 마련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