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정책 방향 제시하기 보다는 기다릴 필요 있어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연준, 금리 서너차례 인하할 듯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를 동시에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를 포함한 통화정책 조정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며 ‘관망 모드’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외신에 따르면 16일(현지 시각) 파월 의장은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인상 규모는 예상보다 훨씬 크다”며 “이는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물가를 올릴 것이고 그 영향은 장기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우리는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두 목표가 상충할 수 있는 어려운 국면에 직면할 수 있다”며 “경제 지표가 각 목표와 얼마나 괴리돼 있는지 그리고 그 격차가 언제쯤 해소될 수 있을지를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 물가 상승률을 2% 수준으로 안정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물가가 급등하면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경기 둔화가 우려될 경우 금리 인하를 단행해 균형을 맞춰 왔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동시에 높일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의 통화정책 수단은 양쪽 목표 중 하나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을 뿐, 동시에 대응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월 의장은 “지금은 어떤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보다 경제 상황이 더욱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금리 인하를 포함한 조기 대응에는 선을 그었다.
연준은 앞서 지난 3월19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그러나 시장에선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연준이 올해 말까지 0.25%포인트(p)씩 기준금리를 서너 차례 인하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