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해 민가를 위협하던 산불 주불이 23시간 만에 가까스로 진화됐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8일 오후 2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 주불을 23시간 만인 29일 오후 1시쯤 진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축구장 370개 면적에 해당하는 산림 260㏊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한 비닐하우스 4개동 일부와 트렉터 등 농기계 7대의 재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당국은 산불이 삼국시대 산성유적이자 사적으로도 지정된 ‘팔거산성’을 지나간 것으로 보고 피해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당국은 밤새 불이 민가로 번질 것으로 예상되자 야간 비행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 2대와 고성능 산불진화차량을 투입해 확산을 막았다. 이틀째에는 일출 때부터 헬기 53대, 인력 1551명, 장비 205대를 투입해 산불을 진화했다.
김정기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장(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주불이 잡혔지만 두꺼운 낙엽층이나 바위 아래 불씨가 살아날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이라며 “시·구, 군, 소방 등의 인력을 총동원해 24시간 잔불 진화와 예찰 감시활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지휘본부는 팔달초교, 매천초교 등 7개 대피소에 있는 주민 214명을 귀가시키고, 재산피해 상황 등을 조속히 파악해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또 건조한 날씨가 계속됨에 따라 당분간 입산금지 등 긴급행정명령을 유지하기로 했다.
앞서 전날 오후 2시2분쯤 입산이 금지된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강풍을 타고 번져 주민 1200여명이 대피했다.
한편 이번 산불 발화 원인은 미궁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최초 산불 발화지점은 등산로가 아닌 입산 통제 구역이었으며, 산불 진화 도중 현장 보존이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통합지휘본부는 구청, 소방, 경찰과 함께 산불 발생 원인을 조사하고 있으며, 산불 가해자 검거를 위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