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화큐셀 등 업계, 미국 태양광산업협회(SEIA) 등과 공조해 적극 대응할 것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당초 제소자측이 제시한 고율의 종량관세(셀 25센트/W, 모듈 32센트/W) 및 쿼터(셀 220MW, 모듈 5.7GW)보다는 완화된 수준이긴 하지만 구제조치 판정은 곧 국내 셀, 모듈 업체에게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돼 국내 정부와 업계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 |
미국국제무역위원회가 현지시간 지난달 31일 한국산 태양광 모듈과 셀에 대한 구제조치 판정을 내렸다. 사진은 이를 알리는 미국국제무역위원회 홈페이지 공고(사진=USITC 홈페이지 캡쳐) |
정부는 11월 1일 국내 태양광 업계 등과 대책회의를 열어 미국 ITC의 구제조치 판정 동향을 공유하고, 업계에 미칠 영향 및 향후 대응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산업부 통상협력심의관, 외교부 수입규제대책반장과 업계에서 한화큐셀, LG전자, 현대그린에너지, 한국태양광산업협회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태양광 업계는 '현재의 낮은 마진율을 감안할때 30~3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우리 수출업체들에게 큰 타격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전달했고,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해 내년 1월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종 결정 전 무역대표부(USTR) 공청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통해 구제조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는 등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구제조치가 불가피할 경우, 우리 업계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구제조치 방식이 채택되도록 수입규제에 반대하고 있는 미국 태양광산업협회(SEIA) 등과 공조해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미국 태양광산업협회는 수입규제 시행시, 자국의 태양광 산업을 위축시키고, 8만8,000여명의 미국내 일자리가 감소하는 큰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11월 13일 발표 예정인 ITC의 상세보고서를 토대로 국제 규범 위반 여부를 확인한 후, WTO 제소 여부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 |
외교부 수입규제대책반이 지난달 3일 미국 무역위원회(ITC)의 태양광 셀 세이프가드 조사 공청회에 참석해 구제조치 반대 의견을 표명하고 있다.[사진=외교부] |
한편, 이번 사태 관련 주요 일정은 ITC의 대통령보고가 11월 13일, USTR의 1차 의견서 접수가 20일, 2차 의견서 접수가 29일, USTR의 공청회가 12월 6일로 예정돼 있고, 이 과정을 모두 마치면 내년 1월 12일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이 이뤄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