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3,000명 정규직 전환 결정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8.07.21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는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약 1년 간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3,0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결정했다.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에 따른 연차별 계획보다 소폭 상회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7월 20일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한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약 1년 간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3,0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월 25일 발표한 ‘연차별 전환계획’에 따른 2018년 상반기까지의 잠정전환인원 13만2,000명을 소폭 상회한 수준이다.

이를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기간제는 2018년 상반기까지 잠정전환인원 7만2,354명의 92.2%인 6만6,745명을 전환결정했다. 파견·용역은 2018년 상반기까지 잠정전환인원 5만9,621명의 110.6%인 6만5,928명을 전환결정해 ‘연차별 전환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

[]
고용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13만3,000명을 정규직 전환 결정했다. [이미지=dreamstime]

직종별로 보면 기간제는 사무보조원(1만3,104명), 연구보조원(9,734명), 의료업무종사자(5,948명) 순으로 많으며 파견·용역은 시설물청소원(1만7,353명), 시설물관리원(1만4,531명), 경비원(1만1,761명) 순으로 많다. 부문별 진행상황을 살펴보면 중앙행정기관은 47개 기관 모두 기간제 전환결정이 완료됐으며 파견·용역은 41개 기관 1만1,361명 중 33개소 9,073명(79.9%)의 전환결정이 완료됐다.

자치단체는 기간제의 경우 245개 기관 1만8,992명 중 226개소 1만6,673명(87.8%)의 전환결정이 완료됐고 나머지 19개 기관도 7∼8월 중 전환결정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견·용역은 173개 기관 6,271명 중 38개소 1,380명(22.0%)의 전환결정이 완료됐으며 상당수 자치단체는 지방선거 이후 노·사·전문가협의회 구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기간제의 경우 325개 기관 2만6,154명 중 304개소 2만4,564명(93.9%)의 전환결정이 마무리됐으며 파견·용역은 289개 기관 6만9,876명 중 173개소 5만1,172명(73.2%)의 전환결정을 완료했다. 지방공기업은 기간제의 경우 144개 기관 중 1개소를 제외한 143개 기관 3,045명(85.2%)을 전환결정해 마무리 단계이며 파견·용역은 82개 기관 3951명 중 44개 기관 694명(17.6%)에 대한 전환결정이 완료됐다.

교육기관은 기간제의 경우 74개 기관 1만3939명 중 73개 기관 1만1,355명(81.5%)을 전환결정했으며 파견·용역은 71개 기관 1만1,122명 중 46개 기관 3,609명(32.4%)을 전환결정한 상황이다. 고용노동부는 최대한 신속하게 기간제 정규직 전환을 마무리하고 하반기에는 파견·용역 부문의 정규직 전환에 집중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