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도금량 제어자동화 솔루션 개발
[FA저널 SMART FACTORY 박규찬 기자] 포스코가 제조업체 최초로 생산 공정에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을 도입하며 스마트제철소로 탈바꿈을 추진하고 있다. ![]() | ||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도금량 제어자동화 솔루션’은 자동차강판 생산의 핵심기술인 용융아연도금(CGL·Continuous Galvanizing Line)을 인공지능으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도금량 편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이 기술은 인공지능 기법의 도금량 예측모델과 최적화 기법의 제어모델이 결합돼 도금량을 실시간 예측하고 목표 도금량을 정확히 맞추는 자동제어 기술이다.
권오준 회장 취임 이후 일찍이 스마트 팩토리 모델공장 구축 등 스마트솔루션 흐름의 선도를 준비해 온 포스코가 알파고의 출현으로 인공지능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자 이를 산업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는 아이디어를 내면서 시작됐다.
도금량 제어자동화에 적용된 인공지능의 핵심기술은 빅데이터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자가 학습 방법이다. 이 방식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도금공정에서 발생되는 수백 종류의 데이터를 실시간 학습함으로써 제어의 정확도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설비 교체나 조업 조건 변경 시에도 실시간 자가 학습해 도금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다.
포스코는 이번에 검증된 도금량 제어자동화 솔루션을 향후 다른 CGL뿐만 아니라 해외 소재 법인 CGL에도 확대 적용해 세계 시장에서의 자동차용 도금강판 기술경쟁력을 선도하는 한편, 다른 철강제품의 생산공정에도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도입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FA저널 SMART FACTORY 박 규 찬 기자 (fa@infothe.com)
<저작권자 : FA저널 SMART FACTORY (http://www.fajournal.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