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대비, 범정부 정보자원관리 전략수립 한다
  • 박규찬 기자
  • 승인 2017.06.30 14: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자부, 클라우드·빅데이터·AI 활용해 범정부 정보자원관리

[FA저널 SMART FACTORY 박규찬 기자] 제4차 산업혁명이 공공부문 정보자원 관리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며 정부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이미지=Dreamstime]

행정자치부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 기술 등을 공공부문 도입 확산과 활용함에 있어 선도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범정부 차세대 정보자원관리 정책토론회’를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했다.

토론회는 4차 산업혁명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방청객 150여명이 참여해 새로운 정보기술 및 정보자원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의 선도적 준비의 중요성과 대응 전략 등에 대해 열띤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회 주요 내용으로는 국정기획자문회의 노규성 4차 산업 전문위원이 ‘4차 산업혁명이 공공업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관련 분야 전문가들은 공공서비스에 ICBAM 적용·확산을 위한 전략,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정보자원관리 전략수립 방향,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차세대 EA 수립 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으며 이어서 패널 토의가 이어졌다.

현재 정부의 각 기관에서는 4차 산업 혁명의 새로운 정보기술을 선제적·경쟁적으로 활용해 행정업무 추진 및 대국민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으나 범정부 차원의 전략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및 데이터가 여러 기관에서 중복개발 하거나 관리·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범정부 차원의 성과 중심 정보화 추진 및 차세대 범정부 정보자원관리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

이번 토론회에서 행정자치부 정윤기 전자정부국장은 “클라우드 기반 전자정부 서비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활용 등의 4차 산업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범정부 정보자원관리 전략을 새롭게 발전시켜야 할 시점”이라며, ”우리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선점적으로 전략을 수립해 대응한다면 전자정부 선도국가로의 위상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