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LNG 수출 증가…중장기적 관점에서 조선업계 현지화 전략 필요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조선업 재건을 추진하며 한국과의 협력을 넓히는 가운데 우리 조선산업의 발전 기회를 얻는 '윈윈'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 정부와 조선업계가 미국의 선박 신조(新造) 계획에 맞춘 분야별 대책을 제시해 '윈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밀고 있는 가운데 조선산업 재건 정책에 따라 미국이 오는 2037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 최소 403척~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지난달 미국 의회에서 발의된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은 미국 국적 전략상선단을 250척으로 확충하고,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했다.
또 최근 미국 해군은 향후 30년간 총 364척의 선박을 건조하겠다는 군함 퇴역 및 신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 1월 미국 해안경비대가 운용할 쇄빙선 40척을 발주하겠다고 밝혔던 적 있다.
보고서는 미국의 선박 도입 계획에 맞춰 상선과 LNG 운반선, 해군 군함, 차세대 선박 등 분야별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 전략상성단의 경우 현채 1000~6000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급인 중형 선박이 대부분이기에 국내 중형 조선업계의 수주 및 사업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NG 운반선은 미국의 LNG 수출 증가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조선 기업들이 현지화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해군 함정과 관련해서는 전투용 함정이 첨단 무기체계와 연계된 만큼 유지·보수·정비(MRO)와 신조를 이른 시일 내 한국에 맡길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MRO는 우선 선체 보수작업 위주로 신뢰를 쌓은 후 점차 선체 개보수 프로젝트 수주로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를 포함한 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함정 신조 분야에서는 수송·지원함과 상륙함에 초점을 맞추는 방안을 제안했다.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투자를 통한 인프라 개선과 생산성 향상, 인력 충원 등이 동반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류 교수는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 현지 사업을 추진할 때 인력과 공급망 저변을 확보하는 전략을 미국과 함께 마련하고, 미국의 지원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국의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며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에 따른 사업 리스크를 면밀하게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회와 정부는 자율 운항 선박, 수소 선박 등 미래형 선박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으로 생산성 제고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