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방산 소버린 AI’ 위해 산·학 맞손
  • 김기찬 기자
  • 승인 2025.07.10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네이버 등 국내 10여곳과 MOU…“보안 최우선, AI기술 개발”
한화시스템 CI/ 사진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 CI./사진=한화시스템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한화시스템이 국내의 대학 및 인공지능(AI) 기업들과 함께 국내 방위산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한국형 소버린(Sovereign·주권) AI’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한화시스템은 서울대학교·포항공과대학교(POSTECH)·카이스트(KAIST) 등 10여개의 국내 대학 및 AI 선도기업들과 '국방 AI 기술자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한 방산 분야에서 국내 대학 및 기업들과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한민국의 군(軍)을 위한 AI 기반의 ‘K-방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는 것이 골자다.

한화시스템은 이번에 업무협약을 체결한 국내 기관과 함께 대공방어를 위한 미래형 전장(戰場) 상황인식 AI모델’의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구체적으로 우리 군이 실시간으로 위협을 분석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실시간 수집, 위협 분석·식별, AI 지휘결심 지원 등 인공지능 모델과 의사결정 체계를 국내 기술로 최적화할 방침이다. 

국방 AI 분야는 해외 AI 기술에 의존하게 되면 △기밀 데이터 유출 및 무단수집 등 보안 이슈 △한국 맞춤형 솔루션 구현 및 정보통제의 한계 △해외 서비스 정책과 규제 종속 △선택적 서비스 제한 등 다양한 외부 변수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대규모 협약 릴레이를 통해 대한민국 자체 국방 AI 모델을 확보하고, 자주권과 직결된 국방·산업 안보에 있어 해외 의존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박성균 한화시스템 DE(Defense Electronics) 사업단장은“본 MOU는 단순한 기술 협력 수준을 넘어 국내 AI 기술의 독립과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출발점”이라며“앞으로도 한화시스템은 K-방산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위해 미래형 전장 기술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