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대응 강화, 책임 있는 서비스 구현 집중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 Daniel)는 30일 내부 거버넌스 강화, 기술적 안전성과 투명성 확보 등 기술적 측면을 아우르는 한층 구체화된 AI윤리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AI 기술의 책임 있는 활용과 윤리적 운영을 위해 금융 분야에서 신뢰 기반 AI 활용의 선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해 성공적으로 안착한 ‘AI 거버넌스’ 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카카오뱅크는 올해부터 ‘AI 거버넌스 2.0'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카카오뱅크는 ▲컴플라이언스(‘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및 ‘AI 기본법 시행’ 대응) ▲정책(AI 거버넌스 대상 범위 확대 추진) ▲조직(AI 윤리 관련 조직 추가 신설 검토) ▲프로세스(AI생애주기 준수절차 개선) 등 핵심 영역별 실행 과제를 도출하, ‘AI 거버넌스’ 리딩 은행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설명가능 인공지능(eXplainable AI, 이하 XAI)’ 기술을 이상거래탐지(FDS) 등 내부 분석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다. ‘XAI’는 AI가 도출한 특정 결과의 작동 원리와 판단 근거를 사용자에게 명확히 제시하는 기술로, 결과에 대한 책임성과 해석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와 함께 KAIST ‘설명가능 인공지능센터(XAIC)’와 산학협력을 맺고 XAI 알고리즘을 상호 발전시켜 나가며 다양한 금융 분야에서의 기술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대규모언어모델(이하 LLM) 성능 평가 체계 ‘DUO’**를 자체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DUO’를 활용하면 다양한 LLM 가운데 금융 대화 역량, 계산 능력 등 카카오뱅크의 요구에 부합하는 모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카카오뱅크는 ‘DUO’를 활용해 금융 산업 특성에 부합하는 신뢰도 높은 AI 모델을 선별하고, 실제 금융 서비스 적용이 가능한지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AI 윤리는 기술 발전과 함께 반드시 동반돼야 하는 필수 요소이며, 이를 제도와 기술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카카오뱅크는 금융 영역에 특화한 AI 전 생애주기 관리와 책임 있는 운영으로 고객 신뢰를 지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