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한국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대선 전에 마무리하고 싶어 한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베센트 장관은 29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취임 100일 경제 성과를 설명하는 백악관 공식 브리핑 자리에서 한국과 일본 등의 선거 일정으로 무역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오히려 반대다. 이 나라 정부들은 선거 전에 미국과의 무역협정의 틀(framework)을 마련하길 원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들이) 적극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나와 일을 마무리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선거운동(campaign)에 나서길 열망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고 언급했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그동안 “미국과 협상은 차기 정부에서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했던 한국 정부 고위관계자들의 설명과 크게 배치된다.
파장이 커지자 기획재정부는 30일 새벽 이와 관련된 설명자료를 내고 “대선 전에 미국과 협상의 틀을 마무리 짓고, 그다음 선거운동을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바가 없다”고 부인했다.
기획재정부는 이어 “우리 정부는 향후 협의 과정에서 한국의 정치 상황, 국회와의 소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며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협의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부연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도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어제 (베센트 장관의) 발언을 보고 당황해서 원문을 찾아보니 그렇게 돼 있어 (트럼프 대통령) 100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국내용으로 얘기했구나라고 이해했다”고 밝혔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이날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베센트 장관이 (상호관세) 유예기간 안에 협상을 끝낼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내면서 아시아 국가들이 선거를 앞두고 빨리할 것 같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이어 “대선 전까지 결론을 낼 수 있는 절차적 준비가 안 됐고, 그 전에 (결론을) 낸다는 것은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